안녕하세요. LFT 란 간 기능 검사를 말하는데요. 간이 손상되진 않았는지 파악하고 정상적으로 간의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기능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. 지난 시간에는 AST/ ALT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. 오늘은 다른 간 기능 검사에 대하여도 알아보려고 합니다
<Total protein > 총 단백
정상치는 얼마인가요?
성인은 6.0 - 8.3 g / dl입니다
총단백은 무엇을 의미하나요?
총단백은 대부분 알부민과 글로불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총 혈청 단백 검사의 이용은 단백질 전기영동 검사가 가능할 때만 체크할 수 있습니다.
임상 문제
< 감소한 경우 >
영양실조, 기아, 흡수 불량 증후군, 심한 간질환, 위장관암, 심한 화상, 궤양성 대장염, 만성신부전
<증가한 경우 >
탈수, 구토, 설사, 다발성 골수종, 유육종증, 호흡 고통 증후군
< Albumin > 알부민
정상치는 얼마인가요?
성인은 3.5에서 5.2 g / dl이고 신생아는 9에서 5.4 g / dl , 영아는 4.4 - 5.4 g / dl , 어린이는 4.0 - 5.8 g / dl입니다
알부민이란 무엇을 의미하나요?
알부민은 단백질 구성 성분의 하나이며, 혈장 단백질의 반 이상을 만들고, 간에서 합성합니다. 알부민은 삼투압을 증가시키고 혈관 내의 수액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. 혈청 알부민이 감소되면 혈액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합니다. 이것을 부종 현상이라고 합니다
임상 문제
<감소한 경우>
간경변, 급성 간부전, 심한 화상, 심한 영양불량, 신장애, 악성 종양, 자간전증, 궤양성 대장염, 단백질 누출 성 결장 질환, 흡수 불량, 장기간의 부동 상태의 환자
<증가한 경우>
탈수, 심한 구토, 심한 설사
< Alkaline phosphatase ( ALP ) >
정상치는 얼마인가요?
성인은 40 - 150 IU / L입니다
ALP 란 무엇을 의미하나요?
ALP는 주로 간과 뼈에서 생산되는 효소이고 소장이나 신장 그리고 태반에서도 생산되기도 합니다. 이 효소 검사는 간과 골 질환을 확인하는데 이용됩니다.
임상 문제
<감소한 경우>
갑상선 기능 저하증, 영양실조, 괴혈병, 저인산 효소증, 악성빈혈, 태반 부전증
<증가한 경우>
폐쇄성 폐질환 ( 황달 ) 간암, 간세포 경변증, 간염, 백혈병, 골 암, 유방암, 전립선암, 다발성 골수증, 골연화증, 위장관의 궤양성 질환, 임신 말기, 갑상선 기능 항진증, 류마티스 관절염, 울혈성 심부전
< Bilirubin ( Total , Direct , Indirect ) >
정상치는 얼마인가요?
총빌리루빈은 0.2 - 1.2 mg /dl이고 직접 빌리루빈은 0.0 - 0. 5 mg /dl , 간접 빌리루빈은 0.2 - 0.7 mg /dl입니다.
빌리루빈이란 무엇을 의미하나요?
빌리루빈이란 적혈구 중의 헤모글로빈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색소를 말합니다. 이후 간으로 이동하여 담관에 저장이 됩니다. 결과적으로 빌리루빈은 대변을 통해 배출됩니다.
임상 문제
<감소한 경우 >
direct - 철분 결핍성 빈혈
<증가한 경우 >
direct - 결석이나 신생물로 발생한 폐쇄성 황달, 간염, 간경화, 전염성 단핵구증, 간암
indirect - 태아 적아구증, 겸상 적혈구 빈혈, 수혈 반응, 용혈성 빈혈, 악성빈혈, 말라리아, 패혈증, 울혈성 심부전증
이상 간 기능 검사에서 총 단백, 알부민, ALP, 빌리루빈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. 감사합니다^^
출처 : 검사와 간호 편람
'의학 정보, 건강 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직장인 스트레스 해소법 퇴근 후 1시간이 답이다 (0) | 2025.05.09 |
---|---|
우리 아이가 개한테 물렸을때 주의 사항 알아보기 (0) | 2022.10.24 |
신장 기능 검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, BUN / Cr , Uric acid (0) | 2022.10.22 |
지질대사및 심혈관계검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,(CPK ,콜레스테롤 검사) (0) | 2022.10.21 |
당뇨 검사 / 공복시 혈당, 식후 혈당, 당화 혈색소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(0) | 2022.10.20 |
CBC 검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, 일반 혈액 검사 (0) | 2022.10.19 |
간기능 검사 AST , SGOT 에 대해 알아보아요 (0) | 2022.10.13 |
간기능 검사 ALT , SGPT 에 대해 알아 보아요 (0) | 2022.10.09 |